내 이야기1023 제24회 한국서학회 전시회 전시안내한글서예 국가무형유산 지정 기념전“ 아름다운 한글서예 그 빛과 울림전 ”전시 / 2025.7. 2(수)~7.8일(화)초대 /2025.7. 2(수) 16:00전시장소 / 인사동 한국미술관 3층 전시실사단법인 한국서학회는 2025년 제24차 정기총회 1월 11일 서울 인사동 태화빌딩 회의실에서 회의 하고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김 숙 이사장님은 이번 전시주제를 한글서예 국가무형유산 지정 기념전으로 오래 동안 기다림과 염원이 깃든 뜻깊은 해에 의미를 함께 담아 “아름다운 한글서예 그 빛과 울림 전” 준비하였습니다. 이번 전시를 위해 김 숙 이사장님과 임원진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한국서학회는 회원 100명이 구성되어 있으며 1985년 창립한 대한민국 한글서예단체입니다.이번 전시는 한글서예 국가무형유산 지.. 2025. 6. 25. 산촌 이야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6. 23. 제70회 현충일 제70회 현충일추념식 행사로 글씨를 썼다호국영령들의 호국보훈의 달민족과 국가의 수호 발전에 기여하고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목숨을 바친 호국영령 영원히 잊지 않겠습니다. 6월도 가정의 건강과 행복하시길 기원드립니다.2025년 6월 6일 현충일#제70회현충일 2025. 6. 6. 국제서법교류전 부산전 국제서법교류전 전시장 전경부산과 강원지회 국제서법교류전 전시안내국제서법예술인 연합회부산전기간: 2025.5.30~6.3장소: 부산 한새갤러리 (부산교육대학교)강원전기간: 2025.6.14~6.20장소: 여초서예관 (강원도 인제군) 2025. 6. 1. 국제서법예술인 연합회 전 오늘은 부산행 go go전시회가 부산에 있어서 서울역에서 부산역 ktx 타고 갑니다. 초록이 짙은 초여름에 부산과 강원지회 국제서법교류전 입니다.전시안내국제서법예술인 연합회부산전기간: 2025.5.30~6.3장소: 부산 한새갤러리 (부산교육대학교)강원전기간: 2025.6.14~6.20장소: 여초서예관 (강원도 인제군) 2025. 6. 1. 대한민국서예문인화대전 2025. 5. 9. 벼루 옮긴 글벼루 시냇물 ・ 2023. 12. 13. 17:52URL 복사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벼루는 문방사우 중에서도 전하는 수가 가장 많고 다양해서 형태와 종류, 산지와 재료 등에 관한 여러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또한, 벼루는 감상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던 만큼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방도구이기도 하여 명연은 그림으로 그려지기도 하였다.벼루는 조선시대 책상인 경상(經床)이나 서안(書案) 옆에 먹, 문진 등과 함께 연상 혹은 상자형의 연갑에 보관되었다. 선비들이 글을 쓰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물건이었지만, 좋은 벼루를 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이 자석연을 보고 탐을 내어 몰래 집에 가져와 기쁨을 감추지 못하였다는 시 구절이나 .. 2025. 5. 6. 강원 소반의 미 전시안내강원 소반의 美기간 /2025년 4월 29일~5월 11일장소 /국립춘천박물관 열린 전시실소반(小盤)의 화려함과 세련미 다양한 다리 형태의 미적 특성이 있는 강원의 옛사람들이 즐겨 사용했던 소반 강원 아름다움 소반을 마음껏 누 릴수 있는 91점의 출품되어 아름다운 문양을 접할 수 작품 전시하고 있습니다.#강원소반의미#소반小盤 2025. 5. 3. 5월은 푸르른 날 어느새 푸른 잎들이 돋아나고바람과 햇살이 싱그러운 5월입니다.오늘은 5월 첫날5월은 푸르른 날기차 타고 여행 가는 날혼자 여행을 떠나보세요.이번부터 연휴가 많아 여행하기 좋은 계절입니다. 들녘에서 쑥이 자란걸 보니 쑥떡 한 접시 만들고 여행을 떠나볼까 합니다 발길 닿는 대로~~~~화선지에 붓질하고 ~~~푸르른 5월 쑥떡 한 그릇 올려 봅니다.행복한 5월 맞이하세요.2025. 5.1#목향서예가 2025. 5. 1. 강원특별자치도 장애인 종합예술제 제20회강원특별자치도 장애인 종합예술제가 있어서 축하드립니다. 강원특별자치도 장애인협회 18개시군 모두 참여하여 화합된 자리에서 축제의 분위기였습니다. 이번 서예 심사로 참여하게 되어 무한한 영광였습니다. 한국 서예의 깊은 전통과 예술성을 다시 한 번 체감할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심사를 통해 다양한 서체와 개성 있는 작품들을 접하며 작가들의 열정과 노력이 얼마나 큰지 느낄 수 있었습니다. 특히 전통 서예의 품격을 지키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을 가미한 작품들이 인상 깊었으며 서예의 저변 확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습니다.심사 과정에서는 작품의 완성도뿐만 아니라 필력, 구성력, 예술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습니다. 무엇보다도 작가의 진정성과 노력의 흔적을 중요하게 평가하고자 했습니다.끝으로 .. 2025. 4. 28. 이전 1 2 3 4 ··· 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