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정약용2 한글 정취로 가득한 사임당의 마음 강원도민일보 기사 문화문화일반한글 정취로 가득한 사임당의 마음기자명 최우은 입력 2024.10.08지면 22면정광옥 초대개인전 오늘 춘천 개막사임당 탄생 520년·한글날 맞이 답사 통해 율곡·다산·만해 작품도▲ 정광옥 작 ‘신사임당의 태교' “산 첩첩 내고향 여기서 천 리/꿈 속에도 오로지 고향 생각 뿐…(중략)…언제쯤 강릉 길 다시 밟아 가/비단옷 입고 어머니 곁에 앉아 바느질 할꼬”조선이 낳은 천재 여성 예술가이자 한국의 어머니상으로 불리는 신사임당(1504~1551)의 시 ‘어머니를 그리며’의 한 구절이다.목향 정광옥 서예가가 신사임당 탄생 520주년을 맞아 KBS춘천방송총국 1층 전시실에서 8일부터 17일까지 9일간 초대 개인전을 연다. 신사임당상 수상자 모임인 사임당모현회의 회장이기도 한 그의.. 2024. 10. 10. 압해정씨 종보 압해정씨 종보 압해정씨 대종회 종보에 작년에 이어 올해도 서예작품이 실렸다. 압해도에 천년이 넘도록 정덕성선생의 묘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그의 후손들 중 중심인물로는 실학(實學)을 집대성한 다산 정약용(丁若鏞)선생을 들 수 있다. 조선 중종 때 정환(丁煥)․정황(丁黃) 형제가 학문으로 이름이 있고, 정극인(丁克仁)은 국문학사상 최초의 가사인 상춘곡(賞春曲)의 작가로서 잘 알려져 있다. 정덕성선생은 중국 당나라 사람으로 통일신라시대 853년 압해도에 온 한국정씨의 시조가 된다. 그의 고향은 중국 하남성 남양시(南陽市) 당하현(唐河縣) 대천(大川) 사람이다. 따라서 '압해'는 정(丁)씨의 발상지가 되며 모두 정덕성의 후손 분파인 것이다. 다산 정약용 선생의 춘천 기행 시 三嶽和五盤(삼악화오반)-丁若鏞(정약용).. 2023. 4.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