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지내는 방법 | ||
제목 | 순서 | 내용 |
분향 | 제사상 차리기 | ⊙제사상 위에 흰 종이를 깔고 식어도 괜찮은 음식부터 제물을 차립니다. ⊙주부가 메(밥)와 갱(국)을 올립니다. ⊙미리 써 둔 신위(또는 사진)를 정면에 놓습니다. ⊙제주가 무릎을 꿇고 앉아 향을 살라 향로에 꽂고 두 번 절합니다. |
강신 | 제주 술잔 올리기 | ⊙제주가 술을 잔에 차지 않게 조금 부어 향로 위를 왼쪽으로 세 번 돌린 후 모사(퇴줏) 그릇에 세 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합니다. ⊙모사그릇은 깨끗한 흙을 담은 그릇에 소나무잎을 꽂아 만듭니다. |
참신 | 참석자 절하기 | ⊙제주와 모든 참석자가 일제히 두 번 절합니다. |
초헌 | 첫 번째 | ⊙고인에게 첫 번째 술잔을 올립니다. 제주는 술잔을 채워 두 손으로 받들고 향불 위를 거쳐 밥그릇과 국그릇 사이 앞쪽에 놓습니다. ⊙술잔은 합설인 경우 고위 앞에 먼저 올리고 다음에 비위 앞에 올립니다. ⊙제주와 모든 참석자가 일제히 무릅을 꿇고 앉습니다. |
독축 | 축문 읽기 | ⊙제주가 축문을 읽습니다. 축문을 읽는 동안 다른 참석자들은 모두 무릎을 꿇고 앉아 머리를 약간 숙이고 경건한 마음으로 듣습니다. ⊙제주가 축문을 읽고 난 후 다른 참석자들은 일어서고 제주는 두 번 절합니다. |
아헌 | 두 번째 | ⊙고인에게 두 번째 술잔을 올립니다. 주부가 올리는 것이 예이지만 주부가 올리기 어려울 때는 제주의 근친자나 장손이 올립니다. ⊙주부가 술잔을 올리면 네 번 절하고 근친자가 올리면 두 번 절합니다. |
종헌 | 세 번째 | ⊙근친자가 고인에게 세 번째 술잔을 올리는데 잔을 가득 채우지 않고 올립니다. ⊙술잔을 올린 근친자가 두 번 절합니다. |
첨작 | 술잔 채우기 | ⊙종헌 때 가득 채우지 않은 술잔에 제주가 세 번 나누어 술을 가득 채우고 두 번 절합니다. |
삽시 | 숟가락 꽂기 | ⊙주부가 메 그릇의 뚜껑을 열어 수저를 꽂습니다. 숟가락은 메에 꽂고 젓가락은 어적이나 육적 위에 나란히 걸쳐 놓습니다. ⊙숟가락은 바닥(안쪽)이 동쪽(오른쪽)으로 보게 놓고 젓가락은 손잡이가 서쪽 (왼쪽)을 보게 놓습니다. ⊙제주와 주부가 두 번 절하고 모든 참석자는 고개를 숙이고 무릎을 꿇고 앉아 묵념합니다. |
합문 | 밖으로 나가고 | ⊙참석자가 모두 잠시 밖으로 나가 문을 닫고 기다립니다. 마루에 제상을 차렸으면 뜰 아래로 내려가 읍(揖)한 자세로 잠시 기다립니다. ⊙단칸방의 경우에는 제자리에 무릎을 꿇고 옆드려 몇 분 동안 있다가 일어 섭니다. |
계문 | 닫았던 | ⊙제주가 헛기침을 세 번하고 닫았던 문을 열고 방으로 들어가면 참석자가 모두 뒤따라 들어갑니다. |
헌다 | 숭늉 올리기 | ⊙숭늉(혹은 냉수)을 국과 바꾸어 놓고, 수조로 밥을 조금씩 세 번 떠서 물에 만 다음 수저를 숭늉그릇에 서쪽으로 뉘어 놓습니다. ⊙모든 참석자가 고개를 숙이고 무릎을 꿇고 앉아 묵념합니다. |
철시 | 메 뚜껑 덮기 | ⊙숭늉 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두어 제자리에 놓습니다. ⊙메의 뚜껑을 덮습니다. |
사신 | 고인의 영혼 | ⊙제주와 참석자가 일제히 신위 앞에 두 번 절하여 고인의 영혼을 전송합니다 ⊙지방을 거두어 축문과 함께 불사릅니다. |
철상 | 제사상 정리하기 | ⊙모든 제사 음식을 물리고 제사상을 정리합니다. 제사상의 위 쪽에서 부터 다른 상으로 공손히 옮깁니다. ⊙제사에 사용한 잔,주전자,퇴줏그릇에 있는 술은 모두 병에다 부어 보관합니다. 이것을 복주(福酒)라고 합니다. |
음복 | 음식 | ⊙옷을 입은 그대로 조상이 드시고 남은 제물을 참석자 모두가 나누어 먹고, 이웃에도 나누어 먹는 것으로 차례를 끝냅니다. ⊙음복을 함으로써 조상님들의 복을 받는다는 속신이 있습니다. |
차례 지내는 방법 | ||
분향 | 향을 사르기 | ⊙북쪽에 병풍을 치고 병풍앞에 신위를 모실 교의를 마련한 다음 식어도 괜찮은 음식부터 제물을 차립니다. |
강신 | 제주 술잔 올리기 | ⊙제주가 술을 잔에 차지 않게 조금 부어 향로 위를 왼쪽으로 세 번 돌린 후 모사(퇴줏) 그릇에 세 번 나누어 붓습니다. |
참신 | 참석자 절하기 | ⊙제주와 참석자가 일제히 두 번 절합니다. 요즘은 여자도 재배를 하나 원래는 4배입니다. |
진찬 | 주부 음식올리기 | ⊙주부가 설 차례에는 떡국을, 추석 차례에는 메(혹은 송편)를 올립니다. |
헌다 | 술잔 올리기 | ⊙제주가 먼조상, 남자조상 순으로 술잔을 올립니다. 기제사와 달리 한 번만 올립니다. |
개반 | 뚜껑열기 | ⊙주부가 떡국그릇이나 메그릇의 뚜껑을 엽니다. 순서는 먼조상, 남자조상 순입니다. |
삽시 | 숟가락 꽂기 | ⊙주부가 시접에 담겨있는 숟가락을 떡국에 꽂고 젓가락은 시접위에 가지런히 걸쳐 놓습니다. 젓가락의 손잡이는 서쪽(왼쪽)을 보게 놓습니다. |
사신 | 고인의 영혼 | ⊙모든 참석자는 조상이 진지를 드시는 수분 동안 조용히 서서 생전의 조상을 생각합니다. |
철상 | 차례상 정리하기 | ⊙모든 제사 음식을 물리고 제사상을 정리합니다. 제사상의 위 쪽에서 부터 다른 상으로 공손히 옮깁니다. |
음복 | 음식 | ⊙제물을 제상에서 거두고 옷을 입은 그대로 조상이 드시고 남은 제물을 나누어 먹는것으로 차례를 끝냅니다. |
출처 퍼온글 (추억과 행복의 길)
'우리의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춘천문학공원 (0) | 2019.05.06 |
---|---|
[스크랩] 정광옥 선생님 -시 (0) | 2018.11.21 |
봉래 양사언 (0) | 2014.04.22 |
[스크랩] 임천의 글씨, 석야의 시조 - 석야 신웅순 (0) | 2014.01.25 |
[스크랩] 들메 구자송의 다산 ‘매화도’ 글씨 - 석야 신웅순 (0) | 2014.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