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부사시사' <춘사春詞> _ 고산 윤선도
[1] 앞강에 안개 걷고 뒷산에 해비친다 배 뛰워라 배 뛰워라 썰물은 밀려가고 밀물은 밀려온다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강촌에 온갖 꽃이 먼 빛이 더욱 좋다
[2] 날씨가 덥도다 물 위에 고기 떴다 닻 들어라 닻 들어라 갈매기 둘씩 셋씩 오락가락 하는구나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낙싯대는 쥐고 있다 탁주병 실었느냐
[3] 동풍이 잠깐 부니 물결이 곱게 인다 돛 달아라 돛 달아라 東湖(동호)를 돌아보며 西湖(서호)로 가자꾸나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앞산이 지나가고 뒷산이 나온다
[4] 우는 것이 뻐꾹샌가 푸른 것이 버들숲인가 배 저어라 배 저어라 어촌의 두어 집이 안개 속에 들락날락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맑은 깊은 연못에 온갖 고기 뛰논다
[5] 고운 볕이 쬐는데 물결이 기름 같다 배 저어라 배 저어라 그물을 넣어 둘까 낚싯대를 놓으리까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漁父歌(어부가)에 흥이 나니 고기도 잊겠도다
[6] 석양이 기울었으니 그만하고 돌아가자 돛 내려라 돛 내려라 물가의 버들 꽃은 고비고비 새롭구나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정승도 부럽잖다 萬事(만사)를 생각하랴
[7] 芳草(방초)를 밟아보며 蘭芷(난지)도 뜯어보자 배 세워라 배 세워라 한 잎 조각배에 실은 것이 무엇인가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갈 때는 안개더니 올 때는 달이로다
[8] 취하여 누웠다가 여울 아래 내려가려다가 배 매어라 배 매어라 떨어진 꽃잋이 흘러오니 신선경이 가깝도다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인간의 붉은 티끌 얼마나 가렸느냐
[9] 낚싯줄 걸어 놓고 봉창의 달을 보자 닻 내려라 닻 내려라 벌써 밤이 들었느냐 두견 소리 맑게 난다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남은 홍이 무궁하니 갈 길을 잊었더라
[10] 내일이 또 없으랴 봄밤이 그리 길까 배 붙여라 배 붙여라 낚싯대로 막대 삼고 사립문을 찾아보자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어부의 평생이란 이러구러 지낼러라
|
'우리의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용운의 나룻배와 행인 (0) | 2020.06.30 |
---|---|
남구만의 시조 (0) | 2020.06.21 |
황진이 시조 모음 (0) | 2020.06.14 |
춘래불사춘 (春來不似春) (0) | 2020.04.02 |
월하 이태극 문학관 찾아서 (0) | 2019.06.09 |
댓글